네부카드네자르 2세

Nebuchadnezzar Ⅱ

BC 630경~562. 성서에는 느부갓네살.

신(新)바빌로니아(칼데아 제국)의 왕(BC 605~562 재위).

칼데아(갈데아) 왕조의 왕 중 가장 위대한 왕으로 뛰어난 군대를 거느렸으며, 수도 바빌론을 화려하게 꾸미고 역사상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유명하다. 신 바빌로니아 제국을 세운 나보폴라사르 큰아들이자 후계자였는데 그에 대한 이야기는 설형문자 비문과 성서, 유대의 자료와 고전 작가의 글에 나온다. 그의 이름은 아카드어로 나부쿠두리 우수르인데 '오 나부, 내 경계석(境界石)을 보호하라'를 뜻하며, '경계석'은 왕위계승자의 핏줄을 의미한다.

그의 아버지는 자신이 왕손임을 부인했지만, 그는 BC 3000년대에 활약했던 왕 나람 신(Naram-Sin)을 선조로 삼았다. 언제 태어났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젊은이는 군복무를 해야 한다는 전통에 따라 BC 610년경 군행정관이 되어 역사에 처음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때 BC 630년 이후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아버지가 그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한 것은 그가 바빌론 시의 으뜸 신이자 바빌로니아 국신인 마르두크(마르둑=므로닥)의 신전 복구 작업장에서 일꾼으로 일할 때였다. BC 607~606년 왕위계승자로서 아버지와 함께 아시리아 북쪽 고지에서 군대를 지휘했고 나보폴라사르가 바빌론에 돌아간 다음에는 독자적으로 작전을 수행했다. BC 606~605년 이집트가 바빌로니아에 패하자 아버지 대신 총지휘관이 되어서 뛰어난 지도력을 보였고 카르케미시(갈그미스)와 하마트(하맛) 전투에서 이집트군을 무찌름으로써 시리아 전역의 통수권을 확보했다. BC 605년 8월 16일 아버지가 죽은 뒤 바빌론으로 돌아와 3주도 채 되기 전에 왕위에 올랐다. 이처럼 빨리 권력을 굳히고 또 곧 시리아로 되돌아간 사실에서 얼마나 강력히 제국을 다스리고 있었나를 알 수 있다.

BC 604년 6~12월 시리아, 팔레스타인 원정을 하면서 유대를 포함한 변경에 있는 여러 소국으로부터 항복을 받아냈고, 아슈켈론 시를 점령했다. 팔레스타인 지방에 있는 영토를 더 넓히기 위해 그리스 용병을 고용하여 그뒤에도 3년간 전쟁을 계속했지만, 마지막 전투에서(BC 601, 600) 이집트군에게 크게 졌다. 이 때문에 유대를 포함한 몇몇 예속국이 그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또한 BC 600, 599년에는 전투를 중단하고 부서진 전차를 수리하며 바빌로니아에 머물렀다. BC 599, 598년말경(12~3월) 지배권을 되찾기 위해 북서부 아라비아에 사는 아랍족을 공격하고 유대 점령을 준비했다. 1년 뒤 유대를 공격해 BC 597년 3월 16일 예루살렘을 함락하고 여호야긴 왕을 바빌론으로 강제 호송했다. BC 596, 595년에 다시 시리아를 공격한 후 엘람(지금의 남서부 이란)의 침략으로 보이는 위협적인 공격을 바빌로니아 동부에서 물리쳤다. BC 595, 594년말 군대가 연루된 반란이 일어나 바빌로니아에 긴장이 감돌았지만, 단호하게 평정하고 BC 594년 시리아에서 전투를 지휘했다.

남아 있는 연대기에는 더이상 자세한 군사행적이 나와 있지 않지만 다른 자료들, 특히 성서에는 그가 한번 더 예루살렘을 공격했고, 티루스(띠로)를 포위 공략했다고(유대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이 공략이 13년 동안 계속되었다고 함) 나와 있으며 이집트를 침략했다고 암시되어 있다. 포위당한 예루살렘은 BC 586년 8월 함락되고 지도층은 강제 이송당했으며 BC 582년에는 더 많은 시민이 바빌로니아로 끌려갔다.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이런 점에서는 아시리아 사람들의 통치방식을 따랐다.

그는 아시리아의 제국주의적 전통에 크게 영향을 받아 마르두크 신으로부터 절대왕권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수평선에서 하늘까지 적(敵)이 아무도 없기를' 빌면서 강력한 팽창정책을 밀고 나갔다. 설형문자 비석의 단편들을 살펴보면, 그는 이집트 침략을 꾀했으며, 그의 팽창정책은 BC 568, 567년 절정에 이르렀다. 뛰어난 전술전략가였던 그는 국제외교에도 뛰어나, 소아시아에 있는 메디아와 리디아 사이를 중재하기 위해 사절(후계자 가운데 1명인 나보니두스였던 듯함)을 보내기도 했다. 그는 BC 562년 8월 또는 9월에 죽었으며 아들 아멜 마르두크가 그뒤를 이었다.

네부카드네자르가 군사 지휘관으로서 쌓은 위업 외에 이룬 주요업적은 바빌론 재건이었다. 그는 아버지대에 쌓기 시작했던 요새를 완성·확장했으며 큰 해자(垓字)와 운하를 팠고, 새로이 외곽방벽을 쌓았다. 또 의식행렬용 길을 석회석으로 포장했으며, 주요신전을 다시 짓고 단장했다. 이 모든 일은 자신의 명예와 신을 기리기 위해서였다. 그는 자신이 '사람들에게 위대한 신들을 경배하도록 한 사람'이라고 주장했고 바빌론이 아닌 다른 곳에 궁전을 지은 선대 왕들을 비웃으며 그곳에는 신년 축제 때에나 가보곤 했다. 그가 전통에 따라 메디아 왕녀와 결혼했다는 것을 빼고는 가정생활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고향을 그리워하는 아내를 달래려고 지었다는 언덕 모양을 한 공중정원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설형문자 원문에도 고고학 유물에도 없다.

그는 유대 역사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했지만 유대 역사상 대단히 호의적인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유대 역사에는 그가 예레미야의 보호를 명령했다고 적혀 있는데, 예레미야는 그를 신이 임명한 대행자로 보고 그에게 복종하지 않는 것은 불경하다고 했으며 예언자 에스겔도 티루스 공격 때 이와 비슷한 의견을 밝혔다. 〈에스드라스 1서〉에는 그가 나쁜 짓을 한 사람을 응징하는 신의 대행자로, 〈바룩〉에는 기도를 올리는 보호자로 되어 있다. 다니엘과 외경(外經) '벨과 용(龍)'서는 처음에는 나쁜 사람들의 참소로 속아넘어가지만 결국 진리가 승리하고 신의 권위가 드러나는 상황을 기뻐하는 사람으로 나와 있다. 〈다니엘〉에는 그가 7년 동안 미친 것으로 되어 있지만 다른 기록에는 그런 이야기가 없다. 이 이야기는 아마 나보니두스가 바빌론을 떠나 10년간 아라비아에 살 때 광기를 보였다는 내용의 글을 그후에 상상력을 발휘해 해석한 데서 나온 듯하다.

근래에는 그를 신을 믿지 않은 정복자로 여겨 나폴레옹을 그에 비유하였으며, 그의 이야기는 베르디의 오페라 <나부코>의 기본 줄거리가 되었다. 또한 윌리엄 블레이크는 그가 미쳤다는 것을 주제로 한 그림 〈네부카드네자르〉를 그리기도 했다.

 

아들 느부갓네살 2세(BC 605~562 재위)는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을 점령했는데, 그는 BC 587년 유다와 예루살렘을 파괴하고 유대인을 바빌로니아에 유폐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또한 바빌론을 다시 부흥시켜 놀랄 만한 공중 정원을 만들고 마르두크 신전과 이에 부수된 지구라트를 재건했다.

BC 539년 고레스 대왕 치하의 페르시아 제국은 네부카드네자르의 마지막 후계자 나보니두스 때 바빌로니아를 점령했다. 이후 바빌로니아는 독립을 잃은 채 BC 331년 알렉산더 대왕이 점령할 때까지 갔는데, 알렉산더 대왕은 바빌론을 자신의 제국 수도로 만들 계획을 세웠으며 죽을 때도 네부카드네자르 궁에서 죽었다. 그러나 알렉산더 대왕이 죽은 후 셀레우코스 왕국 사람들은 결국 바빌론을 포기했으며, 이로써 역사 속의 위대한 왕국은 막을 내렸다.

예루살렘 성전은 바빌로니아의 느부갓네살 2세에게 수모를 당했는데, 그는 BC 604년과 BC 597년에 성전 보물들을 노략해갔고, BC 586년 '아브' 달 9일에는 건물을 파괴해버렸다. 유대인들은 이렇게 성전이 파괴되고 BC 586년과 BC 582년에 유대인들이 바빌로니아에 포로로 잡혀간 것을 예언의 성취로 보았으며, 이를 계기로 유다의 종교 신념들을 강화하고 유대인 독립국가를 다시 세우려는 희망을 일깨웠다.
 


 

H.W.F. Saggs 글 | 鄭惠京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