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이스라엘 10대 왕)
1. 인적 사항
(1) 예후는 '그는 여호와시다'라는 뜻. 북왕국 이스라엘의 제 10대 왕이며, 예후 왕조 창시자.
(2) 님시의 손자, 여호사밧의 아들(왕하9:2).
(3) 여호람 휘하의 군대 장관이었다(왕하 9:25).
(4) 엘리사에게 기름 부음 받음(왕상 19:16).
2. 시대적 배경
B.C.841-814년까지 약 28년간 북왕국의 제 10대 왕으로 통치한 자. 당시 북왕국과 남왕국은 아합 때부터 서로 동맹 관계를 맺었는데 그것은 외적의 침입을 공동적으로 대처한다는 목적에서였다.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잦은 아람의 침입으로 남북 왕국은 모두 그 세력이 급격히 약화되어 있었다. 따라서 보다 강력한 통치권자가 절실히 요청되던 때에 예후는 연약해진 아합 왕가와 함께 당시 동맹 관계에 있던 남유다의 아하시야 왕을 처형함으로써 강력한 정부를 구축하였다.
3. 주요 생애
|
출생 |
― |
― |
|
아합의 군대 장관 |
― |
왕하 9:25 |
|
엘리사의 생도에게 기름 부음 받음 |
B.C.841년 |
왕하 9:1-10 |
|
아합 가문의 심판의 명을 받음 |
〃 |
왕하 9:7-10 |
|
왕으로 추대됨 |
〃 |
왕하 9:13 |
|
유다 왕 아하시야 살해 |
― |
왕하 9:4-24 |
|
이세벨 살해 |
― |
왕하 9:33 |
|
아합의 왕자 70인을 살해 |
― |
왕하 10-6-8 |
|
아합 권속 진멸 |
― |
왕하 10:11 |
|
유다 왕 아하시야의 형제 42인 살해 |
― |
왕하 10:12-14 |
|
여호나답의 도움 받음 |
― |
왕하 10:16 |
|
바알 숭배자 진멸 |
B.C.835년 |
왕하 10:18-25 |
|
바알 산당 훼파 |
― |
왕하 10:26 |
|
금송아지 숭배 |
― |
왕하 10:29 |
|
아람 왕 하사엘의 침공 받음 |
― |
왕하 10:32,33 |
|
죽음 |
B.C.814년 |
왕하 10:35 |
4. 성 품
(1) 남북 왕국에 속한 왕족들을 철저하게 진멸할 만큼 대담한 자(왕하 9:14-10:14).
(2) 아합 가문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수행하는 과정을 볼 때 너무 잔인하고 포악한 자(왕하 9:33,34).
(3) 자신의 반역 소식이 왕궁에 도달되기 전에 병거를 황급히 몰아 왕궁에 쳐들어 간 것을 볼 때 자신의 하고자 하는 일에 열정적인 자(왕하 9:20;10:16).
(4) 멸시를 받을지라도 이를 분개하지 않고 일을 진행시킬 만큼 사고가 냉철한 자(왕하9:31).
(5) 바알 숭배자를 진멸하였을지라도 자신은 금송아지를 숭배한 것을 볼 때 위선 되고 이중적인 신앙을 소유한 자(왕하 10:29-31).
5. 구속사적 지위
바알 숭배와 여호와의 예언자들을 죽인 오므리 왕조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대행하도록 선택받음.
6. 평가 및 교훈
(1) 예후는 여호와의 예언자들을 죽이고 또 바알을 숭배하며 극도로 타락했던 아합 가문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대행하기 위해 선택받았다(왕하9:7-10). 참으로 하나님께서는 악인의 행한 대로 반드시 보응하시는 공의의 하나님이시며, 이를 위해서는 때에 따라서 악한 자라 할지라도 공의를 선포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하신다. 이러한 하나님의 공의 앞에서 하나님만이 전 역사의 주관자요 절대자 되심을 깨닫게 된다.
(2) 예후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바알 숭배자들을 진멸했을지라도 자기 자신은 금송아지를 숭배하는 이중적인 신앙태도를 지녔다(왕상10:29). 이로 보아 하나님의 뜻대로 남북 왕조를 심판하고 바알 숭배자들을 진멸한 그의 행동은 하나님께 대한 온전한 순종이 아니라, 자신의 야망과 영리가 계산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늘날에도 자신의 영리를 계산한 채 종교 생활에 힘쓰는 위선 된 성도들이 있다. 진정 당신은 계산된 이익의 추구가 아닌 하나님의 영광만을 위하여 신앙 생활에 힘쓰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