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李承晩


 

1875 황해 평산~1965. 7. 19 미국 하와이.

독립운동가, 초대 대통령. 

초명(初名)은 승룡(承龍). 호는 우남(雩南). 가난한 선비 이경선의 외아들로 태어나 한문을 배운 이후 1894년 배재학당에 입학, 이듬해 8월에 졸업하고 모교의 영어교사가 되었다. 일본인이 명성왕후를 학살하자 이를 보복하기 위한 사건에 관계되어 지명수배를 당했으나 미국인 여의사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했다. 그후 그리스도교도가 되고 개화사상에 심취해 서재필이 주도한 독립협회 간부로 활동하고 만민공동회를 개최했으며, 〈협성회보 協成會報〉의 주필로 재직중 날카로운 필치로 정부를 비판했다. 독립협회의 간부로 활동하던 중 정부전복 혐의를 받고 1898년 체포되어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1904년 민영환의 감형 주선으로 7년 만에 석방되었다. 석방된 그해 고종의 밀서를 가지고 미국으로 가 미국의 대통령 T. D. 루스벨트에게 일본의 한반도 침략 저지를 호소했으나 아무런 성과도 얻지 못했다. 조지워싱턴대학교·하버드대학교에서 수학하고 1910년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미국의 영향을 받은 영세중립론〉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10년 한일합병이 이루어지자 귀국하여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YMCA)를 중심으로 후진양성에 힘썼다.

1912년 이른바 '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으나 미국인 선교사의 도움으로 석방되어 같은 해 미국에서 열린 세계감리교대회에 한국대표로 참석하기 위해 다시 미국으로 건너갔다. 1914년 박용만의 초청으로 하와이에 건너가 잡지 〈한국태평양〉을 창간하여 한국의 독립을 위해서는 서구열강 특히 미국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는 독립외교론을 주장했다. 이런 외교론은 박용만 등이 주장하는 무장투쟁론과 대립되었을 뿐만 아니라 교민 사이의 반목과 분열을 빚게 되었다. 1919년 4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을 때 초대 국무총리로 선임되었다. 이후 워싱턴에 구미위원부를 설치하여 스스로 대통령 행세를 하다가 1920년 상하이로 돌아가 대통령에 취임했으나 전횡적이고 독선적인 행동으로 1922년 6월 상해임시정부로부터 불신임을 받았다. 그러나 임시정부의 결정에도 상관하지 않고 임의로 1933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연맹회의에 참석하여 한국의 독립을 호소했으며 워싱턴과 하와이 등지에서 외교론을 전개하는 등 기회가 올 때마다 외교교섭을 벌였으나 별다른 소득을 얻지는 못했다. 1934년 오스트리아인 프란체스카와 결혼했다. 1945년 8·15해방 이후 같은 해 10월에 귀국하여 '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조직, 총재에 취임했으며 미국의 지지를 얻어 우익세력의 연합조직체인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의장, 민족통일총본부 총재를 역임하는 등 우익의 지도자로 각광을 받았다.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결정된 5개년 신탁통치에 반대하여 찬탁을 주장하는 조선공산당을 중심으로 하는 좌익세력을 제압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했다. 1945년 3월부터 시작된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1946년 6월 전라북도 정읍에서 남한단독정부 수립계획을 발표한 이른바 '정읍발언'으로 국내외에 큰 충격을 던졌으며, 자신의 단독정부수립 계획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호소했다. 1948년 5·10선거 이후 구성된 제헌국회에서 국회의장에 선출되었으며, 7월 대통령중심제로 헌법이 제정·공포되어 국회에서 초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철저한 친미·반공주의자로 공산주의를 분쇄하는 데 앞장서 대한민국 건국의 기초를 다졌으며, 공공연히 북진발언을 하기도 했다. 6·25전쟁중 1952년 부산의 국회에서 재선이 어렵게 되자 헌법을 대통령직선제로 개정하여(이른바 발췌개헌) 제2대 대통령에 재선되었다. 1953년 미국의 전쟁처리 방식에 반발, 국제연합(UN)군의 동의 없이 반공포로를 석방함으로써 세계를 놀라게 하기도 했다. 1954년 초대 대통령에 대한 연임제한을 철폐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사사오입개헌을 강행했고, 1956년 대통령선거에서 제3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1958년 자신을 반대하는 사회정치적 세력을 탄압하기 위해 국가보안법 등 관계법령을 개정해 야당과의 첨예한 정치파동을 낳기도 했다. 1960년 3월 15일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려는 대대적 부정선거로 그는 비록 제4대 대통령에 당선되었지만, 이 부정선거에 대한 국민적 저항이 원인이 되어 4·19혁명이 일어나자 대통령직을 사임했다. 이후 하와이로 망명했으며, 망명생활 중 사망했다. 유해는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저서로 〈독립정신〉·〈일본내막기〉(영문) 등이 있다.

※ 관련 동영상 및 생전육성(동영상, 육성)


<자료출처: 두산세계대백과 / 브리태니커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