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룹바벨선교회

[中國, 왜 고구려史 노리나]<2>중국 주장과 학계의 반박

운영자 2004.04.04 05:00 조회 수 : 1600 추천:254

extra_vars1 http://www.donga.com/fbin/moeum?n=j$506&a=v&l=3&id=200312020307 
extra_vars3  
extra_vars4  
extra_vars5  
extra_vars6  
03/12/02

[中國, 왜 고구려史 노리나]<2>중국 주장과 학계의 반박

남성음여성음

고구려 고분벽화의 사신도(四神圖) 중 현무(玄武)를 실물로 재현한 모습. 뱀이 거북을 휘감고 있는 형상으로 뱀의 부드러운 곡선이 세련되고 힘찬 기상을 뿜어낸다. 사신도는 북한 평안남도 강서군 고구려 강서중묘에 그려진 대표적 고구려 고분 벽화로 북한이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려는 고구려 문화유산의 일부이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중국은 고구려가 중국 소수민족의 지방정권이었다고 주장한다. ‘동북공정’에는 ‘서한(전한·前漢을 의미) 현도군 고구

려현 경내의 변강 민족이 수립한 지방정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 고대사로서의 고구려는 부인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고대사학회,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중세사학회 등 한국사 관련 17개 단체는 9일 서울 종로구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강당에서 중국 학계의 고구려사 인식의 문제점을 짚는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대책위원회’(가칭) 발족식을 겸한 자리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제기될 중국과 한국 학계 사이의 고구려사 핵심쟁점 6가지를 미리 정리해본다.》

●고구려의 조상은 고양씨(高陽氏)?

1990년대 전반기 중국 학계는 고구려의 족원(族源)을 예맥족으로 보고 중국 동북의 소수민족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고구려사를 한국사에서 분리하기 위해 고조선이나 부여와 같은 예맥족이 아닌 별개 민족으로 설정할 필요가 생겼다. 최근에는 주나라 역사서인 ‘일주서(逸周書)’ ‘왕회편(王會篇)’에 나오는 고이(高夷)를 고구려의 조상으로 설정해 ‘고구려가 신하국가로서 서주(西周)에 조공을 바쳤다’고 주장한다. 최근에는 고이를 중국 전설상의 인물인 고양씨(高陽氏)의 후예로 본다.

그러나 일주서는 신뢰할 만한 사료가 아닌 데다 고양씨는 기원전 3000년에 등장하는 전설상의 인물일 뿐이다. 고구려 건국세력은 압록강 중류 일대에서 농경생활을 하던 예맥계(濊貊系) 주민집단이다.

(여호규 한국외국어대 사학과 교수)

●조공은 외교행위 아니면 지방정부의 의무?

중국은 고구려의 왕들이 한대(漢代) 이래로 중원(中原) 왕조의 책봉(冊封)을 받는 대신 중국 황제에게 공물을 바치며 중국의 지방정권을 자처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책봉과 조공제도를 중앙정부와 지방관아 사이의 내부적 정치질서로 오해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한나라 때 생긴 이 제도는 한나라가 팽창해감에 따라 나라 밖으로 확장돼 나라간에도 조공과 책봉 형태가 나타났다.

조공과 책봉은 전근대 동아시아의 외교형식이었을 뿐이다.

중국의 논리대로라면 중국에 조공을 바친 신라 백제 일본의 역사도 중국사가 된다.

(임기환 한신대 학술원 연구원)

●평양 천도 후 고구려사는?

중국 학자들은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따라 중국을 구성하는 56개 민족의 역사, 현재의 중국 영토 안에서 이뤄진 역사는 모두 중국사의 범주로 간주한다. 이 논리를 따를 경우 북한 영토 내에 있는 평양 천도 이후의 고구려사는 한국사가 된다.

그러나 중국은 ‘동북공정’에서 논리를 바꾸어 과거 중국의 영토 내에 존재했던 나라의 역사도 중국사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평양이 한나라의 낙랑군 경내에 존재했으므로 평양 천도 이후의 고구려사까지 중국사라는 주장이다. 이는 현재 영토를 기준으로 하는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스스로 폐기하는 모순을 일으키는 것이다.

(공석구 한밭대 교양학부 교수)

●고구려와 수(隋) 당(唐) 전쟁은 내전인가 국제전인가?

1990년대 이후 중국 학계는 수나라 문제나 양제의 조서(詔書), 당나라 태종의 조서를 근거로 고구려에 대한 수·당의 정벌은 국가 사이의 전쟁이 아니라고 주장해 왔다.

이는 중원 통일정권이 변강 소수민족 할거세력을 통제하던 과정으로 결코 침략이 아니며 중국의 고유 영토를 회복해 중국을 통일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고구려 대 수·당의 70년 전쟁(598∼668년)은 동북아 일대에서의 독자적 생존권 보전 및 패권을 추구하던 고구려의 대륙정책과 동아시아를 중국 중심의 일원적 질서로 재편하려던 수·당제국의 세계 정책이 정면충돌한 동아시아 국제전쟁이었다.

(박경철 강남대 교양학부 교수)

●고구려 멸망 후 유민의 거취

구당서(舊唐書)와 신당서(新唐書)에 따르면 고구려 멸망 후 총 69만7000호 가운데 중국으로 들어간 유민은 2만8000호였다. 중국 북송(北宋) 때 사마광이 편찬한 역사서 ‘자치통감(資治通鑑)’에는 3만8000호로 나와 있다. 이들 중 다수가 왕족이나 귀족들이었는데 중국은 이를 근거로 고구려 유민들이 중국으로 대거 이주해 한족과 융화됐으므로 고구려사가 중국사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들은 자진해서 간 것이 아니라 당나라에 의해 강제 이주당한 것이다. 이외에 다수의 고구려 유민이 신라로 흘러들거나 발해 건국에 참여하기도 하고 돌궐 등 유목민에 편입됐다.

(김현숙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연구원)

●고구려와 고려의 역사적 연계성

중국은 고구려와 고려의 건국 시기에 차이가 있음을 근거로 두 나라가 무관하다고 주장한다.

고구려가 한국사인 고려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고려는 나라 이름을 고구려에서 따올 정도로 정신적으로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이다.

또 북진정책을 추진해 개경과 함께 서경(평양)을 양대 수도로 삼을 정도로 실제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였다.

발해도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였는데 발해 멸망 후 고려는 발해의 유민들을 고구려의 후예들이라며 받아주었다. (안병우 한신대 국사학과 교수)

이진영기자 ecolee@donga.com

▼韓中 고구려사 연구현황 비교 ▼

고구려사의 중국사 귀속을 위한 학술 프로젝트인 ‘동북공정’에는 중국 최대의 연구원인 중국사회과학원 산하 조직들과 랴오닝(遼寧) 지린(吉林) 헤이룽장(黑龍江) 등 동북 3성의 행정조직, 공산당조직, 관련 연구기관, 대학 등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윤휘탁 동아대 연구교수(동양사)에 따르면 동북공정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동북공정 영도 협조기구’를 조직했는데 고문은 중국의 정치권력 서열 7위 안에 드는 중국공산당 중앙위 정치국원 겸 중국사회과학원 원장인 리톄잉(李鐵映)과 중국의 재정을 총괄하는 재정부장 샹화이청(項懷誠)이다. 5개년 계획인 ‘동북공정’의 총 예산은 약 24억원, 여기에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고구려 유적 정비에 배당된 예산까지 합치면 모두 3조원 규모다.

반면 중국사회과학원에 대응되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는 고구려사 전공자가 한 명도 없다. 내년에 상고사(上古史) 연구비로 4억원이 새로 책정된 정도다. 교육인적자원부 관계자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비해 국사편찬위원회 등 곳곳에 예산을 증액해 놓았지만 중국을 자극할 우려가 있어 구체적 규모는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정신문화연구원은 고구려사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산하에 동북아연구소를 개설하려고 했으나 초대 소장을 물색하는 과정에서 난관에 봉착했다. 고구려사를 전공한 학자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고구려사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은 고고학과 고대문화사를 포함해 모두 12명. 이 중 수도권 역사학과 교수로 고구려사를 전공한 학자는 노태돈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김광수 서울대 역사교육과 교수, 여호규 한국외국어대 교수 세 명뿐이다. 고구려사 전공자가 이같이 귀한 이유는 연구 대상의 ‘현장’이 북한인 데다 학위를 받아도 학계에 자리 잡기 어려워 연구를 기피하기 때문.

서울대 국사학과 79학번으로 고구려 고분벽화를 전공한 전호태 울산대 교수(역사문화학과)는 “군사정권 시절에는 고려 무인정권과 고구려사 연구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북한의 주체사상과 관련된 고구려사가 훨씬 연구하기 위험한 주제였다”고 말했다. 고구려사를 연구하려면 북한의 보고서를 봐야 하는데 이는 국가보안법 위반이었다는 것.

또 대학에서 고대사 전공 교수를 뽑을 때 영남권에서는 신라사나 가야사, 충청과 호남권에서는 백제사 전공자를 우대하기 때문에 지역적 연고가 없는 고구려사 전공자들은 갈 곳이 없어 연구 지원자들이 적었다는 설명이다.

한 대학강사는 “고구려사로 박사학위를 받았지만 지금은 먹고 살기 위해 백제나 신라사를 연구하고 강의한다”며 “고구려사 논쟁이 터진 뒤 ‘국내학계는 그동안 뭘 했느냐’는 말을 들을 때 가장 속상하다”고 털어놓았다.

이진영기자 ecolee@donga.com

고구려사에 관한 중국측 주장과 한국 학계의 반박 내용
중국 학계의 주장 쟁점 한국 학계의 반박
중국 고이(高夷)의 후예 고구려 종족 고조선, 부여와 같은 예맥(濊貊)족
고구려는 중국의 지방 정권으로 중국 황제에게 조공을 바침 조공의 성격 조공은 강대국과 약소국간의 전근대적 외교 형식
평양 천도 후 고구려는 현재 북한 영토지만 과거 중국의 영토 안에 있었으므로 중국사 평양 천도 후 고구려사 현재 영토 내에서 이뤄진 역사를 중국사로 간주하는 중국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과도 모순
변강의 소수민족 세력을 통제하기 위한 중국 통일 전쟁 수(隋)당(唐)과의 전쟁 고구려와 중국의 국가간 전쟁
고구려 멸망 후 다수의 지배계층이 중국에 들어와 한(漢)족과 융합됨 유민의 거취 다수가 신라로 가거나 발해 건국에 기여
고구려와 고려는 별개의 국가 고구려와 고려의 연계성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중국을 이끌어 가는 정치요인( 공산당 제 16기 전국대표대회 이후 현황) 운영자 2004.03.05 2967
공지 중국 개관 운영자 2004.03.05 2795
공지 중국 경제현황 운영자 2004.03.05 2597
공지 중국 정세현황 운영자 2004.03.05 2567
공지 중국 외교현황 운영자 2004.03.05 2367
47 동북아 영토분쟁으로 민족주의 과열 운영자 2004.04.22 1673
46 "김정일 국방위원장 20일 장쩌민과 안보.군사 논의" 운영자 2004.04.21 1795
45 (동영상) 중국 내의 테러 운영자 2004.04.16 1828
44 짐승 국가는 '사스' 대처방안도 짐승적 운영자 2004.04.16 2010
43 [中國, 왜 고구려史 노리나]<5>간도 영토 분쟁 운영자 2004.04.04 1754
42 [中國, 왜 고구려史 노리나]<4>국제정치학적 분석 운영자 2004.04.04 1685
41 [中國, 왜 고구려史 노리나]<3>中 지린성 지안 현지르포 운영자 2004.04.04 1808
» [中國, 왜 고구려史 노리나]<2>중국 주장과 학계의 반박 운영자 2004.04.04 1600
39 [中國, 왜 고구려史 노리나]<1>한국고대사 전공 전문가 좌담 운영자 2004.04.04 1667
38 중, 미국에 대만과의 공식접촉 중단 요구 운영자 2004.04.02 1604
37 중국 `타이완 혼란 좌시 않을 것` 운영자 2004.03.27 1629
36 북한 돌봐주기 운영자 2004.03.26 1584
35 4개 언론 대만총통 유세중 피격보도 모음 운영자 2004.03.20 1849
34 대만, 독립헌법 표결 강행…中선 전쟁 시나리오 마련 운영자 2004.03.16 1739
33 중국의 매끈한 거짓말 운영자 2004.03.14 2164
32 중국여행할 때 꼭 알아두어야할 것들 운영자 2004.03.05 1755
31 내가 본 중국이란 나라 (김영식 목사) 운영자 2004.03.05 1710
30 중국의 국기와 국장에 대한 해설 운영자 2004.03.05 1829
29 호화생활 극치를 이루는 중국의 부자들 운영자 2004.03.05 2339
28 현재 통용되고 있는 중국의 화폐 운영자 2004.03.05 1774